- 강의 시작은 09:30에 하겠음
- 시험이나 숙제는 교재 연습 문제 위주로
- 교재는 J. Walrand and S. Parekh, “Communication Networks: A Concise Introduction”, 2nd Ed.
- 중간 기말 40% 출결 20%
Chapter 1. The Internet
How the Internet works 설명
1.1 Basic operation
1.1.1 Host, Routers, Links

- Host: 정보의 Source와 Sink (IP로 지정받는 Device라고 이해하면 될 듯?)
- Routers: 정보를 받아서 라우터나 호스트로 넘김
- Link: 라우터나 호스트 간의 비트를 전송함(그림의 구름은 Link의 집합), 광학,유선,무선으로 나뉘고 스위치를 포함하기도 함
1.1.2 Packet Switching
- 초기 인터넷의 컨셉은 일부 날아가도 견고한 네트워크 (Flexible Network)
- 특정 포맷의 비트열로 이루어진 패킷을 라우터가 대체 경로 찾아서 라우팅함
- 인터넷 패킷은 소스와 Destination 주소를 갖고 있음
- Circuit Switching은 전화하는 동안은 link set과 Data Rate이 고정됨.
- Virtual Switching은 중간 Solution인데 Link Set은 Fix되지만 Data Rate는 가변적임
1.1.3 Addressing
- IPv4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에서 모든 host는 unique한 32bit의 비트열로 이루어진 IP address를 갖고 있음 (a.b.c.d 형태고 decimal)
- IPv6는 128bit address 씀
1.1.4 Routing
- 각 라우터는 목적지 주소를 가지고 다음 hop(중간지점? 전송 거점 단위인듯)으로 패킷을 넘김
- 같은 administrator 단위에서 패킷은 최단 경로를 따른다(교수님: 최단 경로라는게 애매하다)
- 라우터는 규칙적으로 최단 경로를 계산하고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
- 네트워크 관리자는 라우팅 테이블 로직을 단순화하기 위해 로케이션 기반으로 호스트에 IP 부여 > 목적지 당 한 entry라기 보다는 address set의 entry를 가짐
- 그래서 로케이션 기반 addressing에서의 일반적인 접근법은 다음 hop까지 기준으로 가능한 긴 prefix(common initial string of bits)를 추출하는 것 > CIDR 이라고 함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IP의 초기 비트열(prefix)로 필터링하면서 다음 라우터로 보내는 형식이며 prefix의 길이가 non-fixed이므로 전화번호 체계 대비 유연함
1.1.5 Error Detection
- 때때로 packet의 데이터가 corrupted돼서 transmission error 발생
- 단순한 scheme은 ‘1’의 개수를 even하게 유지하는 parity bit 활용하는 것
- 인터넷은 패킷 헤더에 대해 checksum이고 하는 더 강력한 error dectection code 사용
1.1.6 Re-transmission of Erroneous Packets
- 전송 신뢰성을 위해 목적지에 데이터가 무결하게 도달하지 못할 경우 소스가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메카니즘을 소스와 목적지는 사용; ARQ(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 기본 idea는 correct 패킷을 받으면 목적지에서 ACK 보내는 것. 그리고 특정 시간동안 ACK 못받으면 재전송한다.
1.1.7 Congestion Control
드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