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강의- 1
1주차 강의- 2/3
학사제도 (학사/학적, 졸업요건, 수업, 장학금 등)
수업연한 : 최소한 이 정도는 등록해야 학위 준다 (석사 2년)
재학연한(논문제출연한): 이 때 까지는 졸업해야된다 (석사 4년- 수료하고 2년 더 준다)
최소이수학점 : 석사 24학점이니 보통 학기당 8학점 이상은 들음
지도 교수님께 연구 지도 잘 받아라
학점 3.0(B0) 이상이어야 논문 제출할 수 있고
수업연한 단축 요건은 4.0(A0) 이상
일반 휴학은 2년(석사) 제한이고, 휴학 기간은 재학연한에 포함됨
특수 휴학은 대학원장 허가 필요하고 군입대, 출산, 창업 등..
학위청구논문 신청 자격 요건
포탈에 학적/졸업 → 논문심사 → 학위청구논문제출자격 요건 <에서 확인
1학점이면 16주 주당 1시간이라 보면 됨
드랍기간 없음, F 제외하고 재수강 안됨.
성적은 http://sugang.korea.ac.kr/grade 에서 확인
학점교류 → 일반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국내교류” 검색
수료 종합시험 학점인정 같은거 관련해서는 학과별로 상이해서 학과사무실이 제일 정확
gpt, 영어논문작성
연구 논문의 특성은 reviewer를 고려해야한다
gpt는 reference를 안쓴다
하이픈 사용법 중요
구어체 축약어 사용 조심
gpt 의미 있긴 하지만 개인 판단 잘 엮어서 써라
논문 투고 전 유사도(Similarity Index) 검사 수행함 → 너무 비슷하면 바꿔 써야 함
Paraphrasing- 원본 텍스트 있는데, 의미 가져가면서 내 언어로 다시 표현하는거, 유사도 줄이기 등→ 학술적 의미가 있는 내용이라면 반드시 해당 논문을 인용해야함
논문에서는 let’s 안쓰고 줄임말도 잘 안씀
뒷내용 뭐 있었는데 제대로 못들음
과학논문쓰는법
논문 쓰는 건 원래 무서움, 논문이란 저자와 독자 간 학문적 소통
ABC 작성법! 일주일 논문 작성법
연구가 완결되면 첫째 날, 그림 구성을 해본다. → 둘째 날, 제목과 초록을 작성한다 →
셋째 날, 문헌을 조사한다 (반드시 선행 연구가 있다. 학문의 계보에서 현재 연구 위치를 지정해줘야됨, 어디까지가 new인지) →
넷째 날, 서론을 작성한다 (연구 배경과 목적을 밝히는 문단, 질문 or problem을 정의하는 문단, 방향 문단) →
다섯째 날, 본론을 작성한다 (result는 재판의 판결을 내리기 위한 여러 ‘증거’에 해당, 그림 하나에 result 하나 & 논의, 방법 등 추가) →
여섯째 날, 결론을 작성한다 (모든 연구는 일련의 result와 discussion이 모여 하나의 conclusion에 도달, 중요한 부분임)
일곱째 날, 하루 정도 쉬었다가 논문을 마무리
작성 준비 tip
논문작성법2
핵심역량진단
융합적 사고랑 창의적 문제해결 제외하고는 다 엄청 낮은데(?)
연구윤리_이공계 4부_ 엄창섭교수님
연구윤리_이공계 1부_ 엄창섭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