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Feedback: 김경빈
- fast tier 공간 만들어야하는 이유 와닿지 않고 demotion에 한정될 필요가 있을지 모르겠음 → 제거, 전체적인 tiering 관점으로 변경
- 전체적인 단어 표현들 → 반영 完
- microservice graph에 대한 추가 설명 있으면 좋을 듯 → 반영 完
- 결국 연구 target이 명확하지 않음. 범위에 따라 달라질 듯 load balancer? tiering? → 공감하는데 일단 넘어감, 다른 논문도 단일 시스템에서 진행한 사례가 많으니
- 진짜 frequency 기반 보다 좋을까? → memory access pattern이 진짜 random하다면 그럴 수 있는데.. 확신은 없음
포스팅 Feedback: 교수님
- 이건 이해 가능한 이야기
- 연구실 내 다른 연구와 차이점은 microservice architecture라는 독특한 구조를 반영하는 것
- Required working set size 변화를 기반으로 server cost와 연관지어야함
- 가설 문장은 limited size of fast-tier 관련 상황 반영할 것
Feedback: 안성수
- 굳이 frequency 기반을 문제로 시작할 필요 없음. 공존도 가능하고, 아닐 경우 motivation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고 microservice별 차이를 고려하여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insight가 될 것 같음
- 근데 호출 경로가 다르면 critical path가 동적인거 아닌가? 여기서 어려워질 듯
- 용어에 대한 얘기 platform, service, application, microservice, instance 등등